기름진 학점은행제

학점은행제 자격증 학점인정의 모든것 본문

안선생의 학점은행제 이야기

학점은행제 자격증 학점인정의 모든것

안선생님 2022. 10. 5. 22:20

학점은행제에서 학점을 얻는 방법은 크게 4가지가 있다.

 

수업, 자격증, 독학사, 전적대학교 학점 이렇게 4가지가 존재하는데 이전에 작성한 글이 "평가인정 학습과정" 수업을 통해서 얻는 학점에 대해 설명했다면 이번에는 자격증 학점 관련 내용을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오늘 주제를 '학점은행제 자격증 학점인정의 모든 것'이라고 했으니 주제에 걸맞은 내용을 이야기해야 하지 않는가?

 

시작하기에 앞서 자격증 학점의 경우 큼직한 틀을 먼저 체크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 학생의 목표 학위와 희망 전공
두 번째. 전공 학점으로 인정되는 자격증
세 번째. 내가 갖고 있는 자격증의 학점

위의 세 가지만 알아두면 자격증 학점 관련 내용을 좀 더 쉽게 이해하고 체크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다.

목표 학위와 희망 전공

학점은행제 안에서는 크게 전문학사, 학사 이렇게 두 가지로 학위가 분류된다.

 

전문학사가 2년제, 학사가 4년제라고 보면 되며 전문학사의 경우 자격증 등록은 최대 2개, 학사의 경우 최대 3개까지만 등록할 수 있다.

 

선택한 목표 학위에 따라서 자격증 등록 개수 제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내용을 먼저 알아두는 것을 권장한다.

 

등록 개수 제한을 알고 나서 그다음으로 알아야 할 것이 전공 학점으로 인정되는 자격증 관련 내용이다.

 

학습자등록을 할 때 학생의 목표 학위 및 희망 전공 이렇게 두 가지를 선택하게 되는데 목표 학위가 학생이 자격증 등록 개수 제한을 알려주는 좌표라면 희망 전공은 학생이 어떤 자격증을 얻어야 하는지에 대한 좌표라고 보면 된다.

 

학점은행제에서 자격증을 학점으로 등록한다 하면 "전공 자격증"을 등록하는 것이 기본 전제가 된다.

 

예를 들어서 학생이 '경영학 학사학위' 과정을 진행한다 하면 학사학위를 선택했기 때문에 자격증은 최대 3개까지 등록할 수 있으며 경영학 전공을 선택했기 때문에 자격증은 경영학 관련 자격증으로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전공과 상관없는 자격증은 아예 등록할 수 없는 건가? 그건 아니지만 학생 본인이 선택한 전공 자격증을 얻는 게 마음 편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 이유는 아래 이미지와 함께 설명하겠다.

이미지를 보면 알겠지만 내가 선택한 전공이랑 상관없는 자격증은 무조건 1개만 등록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는 학생의 목표 학위와 상관없이 적용되는 내용이며 그렇기에 전공과 관련 없는 자격증은 무조건 1개만 등록할 수 있고 그 외 다른 자격증을 등록하고 싶다 하면 무조건 학생 본인이 선택한 전공과 관련 있는 자격증을 등록해야 한다는 것이다.

 

간단하게 예를 하나 들어보면 학생이 경영학 학사 과정을 진행하고 있고 컴퓨터 활용 2급 자격증을 등록했다 했을 때 추가로 2개의 자격증을 더 등록할 수 있지만 2개의 자격증 모두 경영 전공 학점으로 인정되는 자격증이어야 한다.

 

왜? 학사과정에선 최대 3개까지의 자격증을 등록할 수 있는데 이미 전공과 상관없는 자격증(경영학, 컴퓨터 활용 2급)을 1개 등록했기 때문에 전공과 상관없는 자격증은 더 이상 등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목표 학위, 희망 전공에 따른 자격증 학점 등록 제한은 학점은행제에서 상당히 중요한 내용이며 이를 이해했다면 오늘 포스팅의 70% 이상 이해한 것이라고 봐도 된다.

 

자격증을 무작정 취득한다고 해서 전부 등록할 수 있는 건 아니기 때문에 목표 학위, 희망 전공에 따른 자격증 등록 제한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꼭 알아둘 필요가 있다.

전공학점으로 인정되는 자격증

첫 번째 내용인 목표 학위, 희망 전공에 따른 자격증 등록 제한을 이해했다면 그다음부터는 식은 죽 먹기라고 보면 된다.

 

앞에서 필자가 언급했던 "oo관련 전공 자격증"을 얻어야 한다!라는 내용을 기억하는가?

 

학점은행제에선 전공 학점으로 인정되는 자격증을 등록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 포인트이며 두 번째 내용에서는 "oo관련 전공 자격증"이 뭔지 그리고 어떻게 조회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절차라고 보면 된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홈페이지 접속, 학점은행제 소개 칸에서 '학점인정 대상' 클릭 '자격'칸 클릭

 

이 순서로 접속을 하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가 나오게 된다.

두 번째 내용(전공학점으로 인정되는 자격증)은 해당 페이지의 "전공별 자격연계"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여기서 학생 본인의 전공을 간략하게 입력하면 좌측에는 목표 학위 및 전공 분류 그리고 우측에는 전공 명칭이 나온다.

 

해당 페이지에서 학생 본인이 선택한 전공을 클릭하면 해당 전공에서 전공학점으로 인정되는 자격증을 확인할 수가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내용이 있다면 각 자격증마다 직무 번호, 분류가 나오게 되는데 직무 번호, 분류 두 가지가 모두 똑같은 자격증끼리는 중복 자격증으로 인정이 된다.

 

중복 자격증의 경우 높은 학점으로 인정되는 자격증 하나만 인정해주기 때문에 이는 꼭 미리 체크 해두길 바란다.

내가 갖고 있는 자격증의 학점

어떤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내용이 아닌 내가 이미 취득한 자격증 또는 취득 계획 중인 자격증이 몇 학점으로 인정되는지 알아보는 방법도 있다.

 

이는 학생 본인이 갖고 있는 자격증이나 취득 예정 중인 자격증이 몇 학점으로 인정되는지 알아보는 것이며 해당 자격증이 어떤 전공에서 전공학점으로 인정되는지도 확인할 수 있기에 상당히 유용한 내용이라고 말하고 싶다.

순서는 앞에서 전공학점 인정 자격증 조회 칸 바로 옆 "자격별 전공연계"라는 칸에 들어가면 해당 페이지가 나온다.

 

여기에선 자격명 및 자격 취득일 두 가지를 입력해야 하는데 자격명을 정확하게 모르겠다면 앞에 두 글자만 적어도 리스트가 어느 정도 나오니 참고하길 바란다. (ex. 컴퓨터 활용능력 1급 -> '컴퓨터'만 검색해도 목록에 나옴)

 

그리고 자격증 취득일은 최대한 자세하게 입력하는 걸 권장한다.

 

취득일에 따라 인정되는 학점이 다른 자격증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ex. 산업기사, 기사 등)

 

그리고 자격증을 조회했을 때 아래에 학사, 전문학사 그리고 전공명이 나올 텐데 이는 예를 하나 들어서 설명하겠다.

위의 이미지를 보면 "경제경영 이해력 인증시험 매경 TEST 우수" 자격증 아래에 학사와 전문학사, 경제학, 경영학, 경영 전공이라고 나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건 매경테스트 우수등급 자격증은 학사학위 과정 중 경제학, 경영학 그리고 전문학사 과정 중 경영 전공에서 전공학점으로 인정해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외 나머지 전공에서는 전공과 관련 없는 "일반학점 자격증"으로 분류가 된다.

 

이는 다른 자격증에도 모두 기재된 내용이며 자격증마다 어떤 전공에서 전공학점으로 인정해주는지에 대한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이는 학생이 갖고 있는 또는 취득 예정 중인 자격증을 기준으로 확인해주길 바란다.

마무리

가장 중요한 건 첫 번째 내용인 '희망 학위, 목표 전공에 따른 자격증 학점 등록 제한' 이것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내용의 경우 '자격증 조회'를 하는 절차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이라 10분 정도만 투자해도 어떤 자격증이 나의 전공에서 전공 학점으로 인정되는지, 내가 갖고 있는 자격증이 몇 학점으로 인정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첫 번째 내용의 경우 학점은행제 자격증 학점 등록의 제한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인 만큼 학생 본인의 커리큘럼에서 자격증 학점을 얼마나 등록할 수 있는지, 등록할 것인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잡아주는 내용이다.

 

그렇기에 여기까지 포스팅을 읽었다면 두 번째와 세 번째 내용보다는 첫 번째 내용을 위주로 한 번 더 훑어보고 이후에 두 번째와 세 번째 내용에 있는 자격증 학점 조회 절차를 본다면 학생에게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긴 글은 아니지만 중요한 내용 중 하나인 만큼 포스팅 안에 있는 내용들은 학생들이 꼼꼼하게 체크하고 학점은행제 진행에 잘 적용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