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학점은행제학습설계만들기
- 학점은행제독학사
- 학점은행제교육원
- 학점은행제기초가이드
- 학점은행제기초
- 학점은행제안선생
- 학점은행제비용
- 전적대학점은행제
- 학점은행제연간학점이수제한
- 학점은행제학위취득조건
- 학점은행제전공선택
- 학점은행제전공
- 학점은행제학습설계
- 독학사학점인정
- 전공선택
- 학점은행제
- 연간학점이수제한
- 학점은행제자격증
- 학점은행제전적대
- 학점은행제교육원조회
- 학점은행제전적대학교
- 학점은행제플래너
- 기름진학점은행제안선생
- 학점은행제자격증학점
- 기름진학점은행제
- Today
- Total
목록안선생의 학점은행제 이야기 (6)
기름진 학점은행제
학점은행제를 진행하기 위해서 정보를 모은 학생이라면 학점은행제 플래너의 존재에 대해선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당장 인터넷에 '학점은행제'라는 단어만 검색해도 플래너가 작성한 학점은행제 관련 글이 상당히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서 플래너가 어떤 존재인가에 대해서 한 번쯤은 알아보았을 것이고 이때 플래너가 어떤 존재인가에 대해서 호기심을 갖고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볼 수도 있는 반면 그게 아닌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생이 플래너의 존재에 대한 호기심을 어느 정도 가졌다는 전제하에 작성하는 것이니 참고해서 글을 읽어주길 바란다. 결론 일단 학생이 학점은행제를 진행할 때 플래너와 함께 하느냐 아니냐는 필수 사항이 아닌 선택 사항이라는 것을 먼저 말한다. 학점..

이번 포스팅부터 학점은행제 기초 가이드를 벗어나 유튜브에서 이야기하지 못했던 주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게 될 것이다. 첫 게시글에서 티스토리 블로그는 필자의 머리 안에 있는 내용을 보다 진하게 적을 수 있는 공간이라고 표현을 했다. 내용을 진하게 적을 수 있다면 그에 부합하는 주제가 따라와 줘야 하지 않겠는가? 그래서 선정한 주제가 바로 '학점은행제 비용'이다. 2년 전 필자의 유튜브에서 처음으로 조회수 100회를 넘긴 영상인 것과 더불어 2년이 지난 지금도 매달 5000회 이상 조회수가 증가하고 있는 영상이다. 그만큼 학점은행제를 시작하는 학생들이 궁금해하는 내용이라고 봐도 될 것 같다. 유튜브에서 학점은행제 비용을 주제로 한 번 더 영상을 업로드하고 싶었지만 유튜브 내에서 이야기할 수 없는 내용도 있을뿐..
이전에 작성한 모든 글은 오늘 포스팅을 모다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중요한 주제라고 생각을 한다. 학점은행제라는 교육제도 자체가 대학교와는 다르게 학생이 직접 학위를 받는데 필요한 학습 설계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학점은행제를 시작할 예정이라면 학습설계를 만드는 방법 및 절차는 꼭 알고 있어야 한다. 내용이 많은 건 맞지만 그렇다고 부담 가질 필요는 없다고 말하고 싶다. 이제까지 작성한 모든 글로 중요한 내용들을 간소화하고 보기 편하게끔 글을 작성할 것이니 말이다. 시작은 가볍게 학점은행제를 시작할 때 알아두어야 할 제도 이용 사항은 생각보다 많다. 그렇기에 이를 모두 알고 학점은행제를 시작한다 하면 제대로 이해하는 내용은 줄어들뿐더러 정작 중요한 핵심 포인트는 놓치게 될 것이다. ..

최근 3개의 포스팅에서 학점은행제 학점을 얻는 방법 네 가지 중 세 가지 (수업, 자격증, 독학사)를 다루었다. 그리고 오늘 주제는 학점은행제 학점을 얻는 방법 카테고리의 마지막을 장식할 '전적대학교 학점 인정의 기준'이다. 전적대학 학점 인정 기준에 대한 설명을 마지막으로 학점은행제 학점을 얻는 방법에 대해선 자세하게 다루지 않을 예정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수업, 자격증, 독학사 그리고 오늘 주제인 전적대학교 학점 등록 이렇게 네 가지만 알면 학점은행제 내에서 학점을 얻는 모든 방법을 이해한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내용이 어려운 건 아니지만 하나하나 체크하는 게 귀찮은 학점 학점은행제는 위와 같이 전문대학 또는 대학 중퇴, 전문대학 졸업 시 대학교에서 얻은 학점을 학점은행제 학점으로 인정받는 것이 가..

학점은행제 학점 이수 방법 관련 글은 오늘 주제인 독학사를 포함해서 2개밖에 남지 않았다. 학점은행제 학점 이수 방법이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서는 종착역을 향해 달려가는 것인 만큼 마무리까지 열심히 달릴 것이지만 사실 독학사 학점 인정에 관해서는 내용이 그렇게 많지 않다. (빵긋) 포스팅 천천히 읽으며 정보를 얻어가면 되지만 독학사 학점의 경우 다른 학점 이수 방법과는 달리 기본 이론 설명과 더불어 필자의 주관적인 생각을 조금 넣을 것이다. 참고해서 읽어주길 바란다. 독학학위제? 독학사?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독학사의 경우 수업이나 자격증, 전적대 학점을 등록하는 것과는 달리 독학사 학점을 학점은행제에 등록하는 것에 대해 자세하게 모르는 학생이 훨씬 더 많았다. 특히 이제 막 학점은행제를 알아보는 학생들에게..

학점은행제에서 학점을 얻는 방법은 크게 4가지가 있다. 수업, 자격증, 독학사, 전적대학교 학점 이렇게 4가지가 존재하는데 이전에 작성한 글이 "평가인정 학습과정" 수업을 통해서 얻는 학점에 대해 설명했다면 이번에는 자격증 학점 관련 내용을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오늘 주제를 '학점은행제 자격증 학점인정의 모든 것'이라고 했으니 주제에 걸맞은 내용을 이야기해야 하지 않는가? 시작하기에 앞서 자격증 학점의 경우 큼직한 틀을 먼저 체크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 학생의 목표 학위와 희망 전공 두 번째. 전공 학점으로 인정되는 자격증 세 번째. 내가 갖고 있는 자격증의 학점 위의 세 가지만 알아두면 자격증 학점 관련 내용을 좀 더 쉽게 이해하고 체크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다. 목표 학위와 희..